영화이야기 [패왕별희(覇王別姬, 1993)]

패왕별희(覇王別姬, 1993)


드라마
154분
15세 이상
중국

감독 : 첸 카이거
출연 : 장국영, 장풍의, 공리

줄거리 : 1925년, 소년 데이는 엄마의 손에 이끌려 북경에 있는 경극학교에 맡겨진다. 그곳에서 데이는 경극배우가 되기 위한 혹독한 훈련을 받으면서 허약한 자신을 지켜주는 샬루...



중국의 격동기를 배경으로 경극을 하는 두 남자의 사랑과 질투, 그리고 경극의 아름다움을 보여주고 있다. 어려서 북경 경극학교에 맡겨진 두지(장국영)와 시투(장풍의)는 노력 끝에 최고의 경극배우가 된다. 여자 역할을 맡았던 두지는 시투를 흠모하게 되는데 시투에게 사랑하는 여인 주샨(공리)이 생기면서 방황을 한다. 두지는 아편에 손을 대고, 시투는 주샨에게 빠져 산다. 이것을 시작으로 두 남자는 중국의 역사처럼 파란만장한 삶을 시작한다.

1924년의 군벌시대로부터 문화혁명을 거쳐 1977년에 이르기까지
두 경극배우의 파란만장한 삶과 사랑, 배신을 통해 예술과 인간
그리고 중국의 근현대사를 되돌아보게 하는 내용의 대하사극으로
중국 영화 제5세대의 선두 주자인 첸 카이거 감독의 작품입니다.

홍콩의 여성작가 이벽화가 경극의 대표적인 레퍼토리로 사랑받는
<패왕별희>에서 초패왕과 우희의 사랑 이야기를 소설로 만들었고
첸차이거 감독은 이 소설을 영상으로 옮기면서 화려한 경극 장면과 함께
역사에 내재한 잔인한 폭력성, 인간에 내재한 악마적인 군중 심리,
남-남-녀의 삼각관계 등을 밀도있게 구성하여 대작을 만들었습니다


문화혁명 당시 홍위병으로 인민 앞에서 아버지를 고발해야 했던
첸차이거 감독은 이 영화에서 문화혁명이 인간에 대한 신뢰를 철저하게
궤멸시켰음을 지적하고 문화혁명이라는 거대한 힘 앞에서 인간들이
너무나 나약했다는 사실을 아프게 이야기하였고 이런 이유 때문에
중국 내에서 원작소설과 함께 이 영화의 상영도 금지되었습니다


<영웅본색>의 장국영과 <붉은 수수밭>의 공리가 공연했는데
이 영화를 통해 세계적으로 이름을 알린 장국영이 투신자살하자
실제 삶과 영화 속에서 이어진 동성애-자살로 화제가 되었습니다

중국영화 100주년을 기념해서 시행한 홍콩의 한 설문조사에서 이 영화가 홍콩 사람들이 가장 사랑하는 중국영화 1위로, 장국영이 가장 사랑받는 남자배우 1위로 꼽혔다고 합니다


1993년 칸영화제에 임권택 감독의 <서편제>와 함께 출품되어
한국과 중국의 전통예술을 소재로 한다는 점에서 비교되었는데
1993년 칸영화제에서 <피아노>와 함께 황금종려상을 공동수상,
1994년 골든글로브에서 외국영화상을 수상하였고
1994년 아카데미에서 외국영화상과 촬영상 후보에 올랐습니다


1925년 군벌시대의 북경,
엄마의 손에 이끌려 경극학교에 맡겨진 소년 데이는 경극배우가
되기 위한 혹독한 훈련을 받으며 또 다른 소년 샬루와 가까워진다
섬세한 데이에게는 여자 역할이, 건장한 샬루에게는 남자 역할이
주어지는데, 이들은 어려운 수련과정 끝에 초패왕과 애첩 우희의
이야기를 다룬 <패왕별희>에서 각각 남녀주인공을 맡게 된다


1937년 중일전쟁 전야,
데이(장국영 분)와 샬루(장풍의 분)는 유명한 경극배우가 되는데
현실과 경극을 구별하지 못 하는 데이는 실제로 샬루를 사랑하지만
이를 아랑곳하지 않는 샬루는 홍등가의 쥬산(공리 분)과 결혼하고
배신감을 느낀 데이는 자신에게 호감을 갖고 있던 부유한 후원자
원대인(갈우 분)에게 자신을 맡기고 아편에 손을 대기 시작한다


1945년 일본 항복과 장개석 정부 북경 수복,
일본군과의 시비 끝에 잡혀간 샬루를 구해내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일본군 앞에서 노래를 했던 데이는 그 사실이 드러나 기소되지만
그의 연기를 보려는 유력한 국민당군 고급장교 덕분에 풀려난다


1949년 공산군 북경 입성,
중국대륙을 지배하게 된 공산군이 새로운 혁명이념을 채택하면서
경극도 큰 변화를 겪게 되고 데이와 샬루는 경극 공연을 중단한다


1966년 문화혁명 시작,
홍위병들에게 구사회의 악으로 몰려 군중 앞에서 자아비판을 하는
데이와 샬루는 이성을 잃은 채 서로에게 악의적인 비판을 해대고
샬루는 아내 쥬산을 한번도 사랑한 적이 없다는 거짓 증언을 하고
샬루에 대한 믿음을 잃은 쥬산은 목을 매달아 자살하고 만다

그로부터 11년후인 1977년,
초로의 두 사람은 22년만에 패왕별희 마지막 공연을 하는과정에서 데이는
자살을 하는 장면으로 막을 내린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한국의 경제는 어디에서 조작 되고 있을까?

2025년 노란봉투법 장점과 단점 비교

검찰개혁 시도의 원인과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