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2025의 게시물 표시

수사보완권이 궁금하여

이미지
🎯 법을 거론 할 처지가 아니라서 방관 했지만, 2025년 대한민국에서 헌법이 정한 검사의 권한이 유효하다고 생각하세요? 검사 위에 조폭들이 지배 하고, 외국계 카르텔과 손 잡은 기업인들이 있습니다. 지난 30년간 많은 법을 바꾸면서 무엇이 어떻게 변했는지? 거론을 해보겠습니다.    ✔️ 한국은 현재 다민족화 되면서 선진국이 아니라 성진국( 섹스와 마약왕국) 후진국이 되었고, 표적 사기범죄에 노출되었으며, 한국 기업들 숨도 못 쉬게 되었고 각종 위원회들 밥줄만 늘어났습니다. 도대체 대한민국 어느 집단이 검사들의 수사 보완권을 감찰 할 자격이 있어요? ✔️ 검사들이 보완 수사도 못하면 무슨 수로 확신을 가지고 구형을 때립니까? 한국 경찰의 초등 수사 실력이 천재적으로 뛰어난가요? 천만에요!! 시민들 불편해서 불만 터지는 것 안보이세요? 사건 현장 보존과 강력 범죄자들 대하는 기본 기술과 장비가 아직도 미흡한 것이 현재 수준이잖아요. 시민을 믿을 수 있게 만들어 놓고 개혁을 하세요. ✔️ 정치를 입으로 하는 것과 댓글로 언론 조작하고 악성 언론 조작으로 밑 작업 하는 것 이젠 그만 하시란 말입니다. 정부의 윗 선 부터 종교와 주가 조작하고 자금 세탁하면서 수 십 년 동안 개와 돼지를 만들어 놓고 이제는 외국인들에 전체 국민들이 농락을 당해야 하잖아요? ✔️ 국내 기업이 아닌 외국 회사들이 왜 그렇게 자기들이 손해 보면서 값싸게 물건을 팔고 친절했다가 어느 나라는 관세로 돌려 까고 중국에서는 보란 듯이 땅을 매입을 할까요? 이제 자기들이 원하는 적정 수준 까지 업그래이 하고 게임 끝났다는 것 아닙니까? 🎯 이제 한국인들의 눈치 볼 필요가 없다. 80년대 처럼 강한 군인들과 애국정신 남아 있을 때는 어려웠는데 이제는 그 사람들이 노인 수당에 목숨을 걸게 되었고, 부자들은 요양원 사기, 전세 사기, 투자 사기로 허리가 휘청 거리고, 그들이 아이들은 부동산과 코인 사기를 당하고, 손주들은 취업 사기와 신종 사기로 국민들 전체가 빚...

검찰개혁 시도의 원인과 이유

이미지
   🎯  대한민국 검찰 개혁의 필요성  권력 집중 문제 : 검찰이 수사권, 기소권, 영장청구권 등을 독점하여 권력이 과도하게 집중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권력 남용 가능성이 크다. 정치적 중립성 부족 : 검찰이 정치적 사건에서 중립성을 유지하지 못하고, 정권의 영향력 아래 작동한다는 비판이 지속적으로 제기된다. 수사 관행의 문제 : 강압적 수사, 표적 수사, 과도한 기소 등으로 국민의 신뢰를 잃고 인권 침해 논란이 발생한다. 견제와 균형 부족 : 검찰의 권한을 견제할 외부 기구가 부족하여, 자정 기능이 약하고 부패 가능성이 높다. 시대적 요구 : 민주주의와 국민의 인권 보장을 위해 검찰의 권한을 분산하고 투명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검찰 개혁 반대의 이유 수사의 전문성 약화 우려 : 검찰의 수사권을 분산시키면 전문적이고 효율적인 수사가 어려워져 범죄 대응력이 약화될 수 있다. 공백 발생 가능성 : 검찰 권한 축소 시, 경찰 등 다른 기관의 준비 부족으로 수사 공백이 생길 수 있다. 정치적 의도 의심 : 개혁이 정치적 목적 (정권 보호, 검찰 무력화 등)으로 추진된다는 비판이 있으며, 개혁이 오히려 검찰의 독립성을 훼손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안정된 시스템 유지 필요 : 현 검찰 체계가 오랜 기간 안정적으로 운영되어 왔으며, 급격한 개혁은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국민 신뢰 회복 가능성 : 개혁 없이도 내부 자정 노력과 투명성 강화로 신뢰를 회복할 수 있다는 주장. 결론 검찰 개혁은 권력 분산과 민주적 통제를 위해 필요하지만, 반대 측에서는  수사 효율성과 안정성을 이유로 신중한 접근을 요구한다.  양측 모두 국민 신뢰와 공정한 법 집행을 목표로 하지만, 방법론과 우선순위에서 차이가 있다.

한국 기업 인 줄 알았지만 외국 기업의 현황

🎯 한국 기업 인 줄 알았는데 외국  기업이라고? 실제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쿠팡 (Coupang) 한국에서 창업했으나 본사는 미국 델라웨어주에 위치하며,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상장(CPNG). 따라서 법적으로 미국 기업으로 분류됨. 카스 (Cass, OB맥주) 원래 한국 기업이었으나, 2009년 안호이저- 부시 인베브(Anheuser-Busch InBev, 벨기에 소재 글로벌 맥주 회사)에 인수됨. 현재 AB InBev의 자회사로 운영. 배달의민족 (Woowa Brothers) 2020년 독일 기반 딜리버리히어로(Delivery Hero)가 인수. 현재 딜리버리히어로의 자회사로, 독일 기업 소속으로 간주됨. 아가방 (Agabang) 한국 유아복 브랜드였으나, 2017년 중국 닝보진치안(Ningbo Jinchian) 그룹에 인수됨. 현재 중국 기업의 지배적 영향 아래 운영. 금호타이어 (Kumho Tire) 2018년 중국 더블스타 그룹(Qingdao Doublestar)이 최대주주로 경영권 인수. 중국 기업의 영향권에 속함. 린나이 (Rinnai) 정확. 일본 본사(린나이 주식회사, Rinnai Corporation) 소유의 글로벌 기업. 한국에서는 린나이코리아를 통해 운영되며, 여전히 일본 기업으로 분류. 잡코리아 (JobKorea) 수정 필요. 2021년 미국 사모펀드 KKR(Kohlberg Kravis Roberts)이 잡코리아를 인수. "헤드헌터그룹(HeadHunter Group)"은 잘못된 정보로 보이며, 현재 미국 자본 소속이 맞음. 홍콩 관련 정보는 오해 또는 잘못된 정보. 나무위키 (Namuwiki) 정확. 나무위키는 기업이 아닌 비영리 커뮤니티 위키 사이트로, 한국 법인(유한회사 나무위키) 소속. "파라과이"는 유머성 밈으로 실제와 무관. 유한킴벌리 (Yuhan-Kimberly) 정확. 한국 유한양행과 미국 킴벌리-클라크(Kimberly-Clark)의 합작회사. 지분은 양측이 공유하며, 한국-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