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기업 인 줄 알았지만 외국 기업의 현황
🎯 한국 기업 인 줄 알았는데 외국 기업이라고? 실제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쿠팡 (Coupang)
한국에서 창업했으나 본사는 미국 델라웨어주에 위치하며,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상장(CPNG). 따라서 법적으로 미국 기업으로 분류됨. - 카스 (Cass, OB맥주)
원래 한국 기업이었으나, 2009년 안호이저- 부시 인베브(Anheuser-Busch InBev, 벨기에 소재 글로벌 맥주 회사)에 인수됨. 현재 AB InBev의 자회사로 운영. - 배달의민족 (Woowa Brothers)
2020년 독일 기반 딜리버리히어로(Delivery Hero)가 인수. 현재 딜리버리히어로의 자회사로, 독일 기업 소속으로 간주됨. - 아가방 (Agabang)
- 한국 유아복 브랜드였으나, 2017년 중국 닝보진치안(Ningbo Jinchian) 그룹에 인수됨. 현재 중국 기업의 지배적 영향 아래 운영.
- 금호타이어 (Kumho Tire)
2018년 중국 더블스타 그룹(Qingdao Doublestar)이 최대주주로 경영권 인수. 중국 기업의 영향권에 속함. - 린나이 (Rinnai)
정확. 일본 본사(린나이 주식회사, Rinnai Corporation) 소유의 글로벌 기업. 한국에서는 린나이코리아를 통해 운영되며, 여전히 일본 기업으로 분류. - 잡코리아 (JobKorea)
수정 필요. 2021년 미국 사모펀드 KKR(Kohlberg Kravis Roberts)이 잡코리아를 인수. "헤드헌터그룹(HeadHunter Group)"은 잘못된 정보로 보이며, 현재 미국 자본 소속이 맞음. 홍콩 관련 정보는 오해 또는 잘못된 정보. - 나무위키 (Namuwiki)
정확. 나무위키는 기업이 아닌 비영리 커뮤니티 위키 사이트로, 한국 법인(유한회사 나무위키) 소속. "파라과이"는 유머성 밈으로 실제와 무관. - 유한킴벌리 (Yuhan-Kimberly)
정확. 한국 유한양행과 미국 킴벌리-클라크(Kimberly-Clark)의 합작회사. 지분은 양측이 공유하며, 한국-미국 합작기업으로 분류.
디시인사이드(DCinside) 한국 현재 5위 포털
- 설립 및 본사: 1999년 10월 6일 김유식 대표가 디지털 카메라 동호인 사이트로 설립. 현재 본사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77길 14(삼성동)에 위치. 2010년 12월 27일 법인명 (주)디시인사이드로 변경.
- 기업 형태: 중소기업, 포털 및 인터넷 정보매개 서비스업. 직원 수는 약 55명(국내, 삼성동 본사 기준)이며, 해외 지사에 약 46명 근무.
- 서비스: 약 86,000개의 갤러리(주제별 커뮤니티)를 제공하며, 실시간 베스트 갤러리, 익명 글쓰기, 댓글 알림, 야간 모드 등 다양한 기능을 지원. 모바일 앱은 iOS 12 이상, Android 5.0 이상에서 호환.
- 트래픽: 2021년 12월 기준, 시밀러웹에 따르면 전 세계 웹사이트 순위 130위, 한국 내 5위. 월간 방문자 수 약 1억 8,310만 명(2021년 11월 기준).
- 특징 및 문화: 디시인사이드는 한국 인터넷 문화의 중심지로, 신조어, 짤방, 유머 등 다양한 인터넷 트렌드의 발상지로 알려짐. 그러나 패드립, 지역드립, 성별 혐오 등 부정적인 댓글 문화와 극단적 성향(예: 극우, 친일 성향)도 일부 존재.
- 문제점: 욕설 문화, 폐쇄적 여초 갤러리, 검색 기능 오류, 서버 안정성 문제(예: 2013년 DDoS 공격) 등으로 논란. 또한, 선정성 콘텐츠로 인해 2022년 3월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서 앱이 일시적으로 제거된 적 있음. 현재 원스토어에서 설치 가능.
기업 소유 및 지분
- 소유 구조: (주)디시인사이드는 김유식이 대표로 있는 지주회사 소유(20,000주 전량 보유). 과거 우회상장 사태로 인해 대부분 지분이 타 기업인에게 넘어갔으나, 현재 최대주주는 명확히 공개되지 않음.
- 재무 정보: 구체적인 매출액이나 연봉 정보는 공개되지 않았으나, NICE평가정보 및 잡코리아 데이터에 따르면 포털·컨텐츠·커뮤니티 산업 내에서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