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Don mclean - Vincent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Don mclean - Vincent 고흐(1853-1890) 프랑스 화가... 고독한 삶을 살다가 죽음을 맞이한 화가입니다. 천재성과 광기가 엇갈리면서 권총 자살을 한 빈센트 반 고흐에 관련 된 노래 Stary stary nlght Paint your palete blue and gray Look out on a summer's day With eyes that know the darkness in my soul Shadows on the hills Sketch the trees and the daffodils Catch the breeze and the winter chills In colors on the snowy linen land Now I understand What you tried to say to me And how you suffered for your sanity And how you tried to set them free They would not listen they did not know how Perhaps they listen now Stary stary night Flamin' flowers that brightly blaze Swirling clouds in violet haze Reflect in vincent's eyes of China blue Colors changing hue Morning field of amber grain Weathered faces lined in pain are soothed Beneath artist's loving hand ♪ ♪ For they could not love you But still your love was true And when no hope...
일본은 독도를 다케시마 라고 부르고 있으며....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Korea's Dokdo, a beautiful island comprised of Dongdo and Seodo. Now you can visit Dokdo through these three-dimensional images. 일본은 독도를 다케시마 라고 부르고 있으며 2010년에 69명이 추가로 호적을 다케시마로 정했다고 한다. 2011년 2월 18일 기준으로 총 520명의 일본인이 죽도(다케시마)를 고향으로 만들었다. 한국인은 1000명 정도가 독도를 고향으로 정하고 있었지만, 해마다 줄어들고 있는 추세에 있어서 매우 심각한 상황으로 판단된다. 더욱이 아쉽게도 한국의 현정부는 강력한 대응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일본은 전세계의 지도를 바꾸기 위한 노력을 아끼지 않고 동해를 일본해로 바꾸고 독도를 죽도로 표시하며 일본의 땅으로 만들고 있어서 우리가 현재 노력을 하지 않으면 멀지 않은 미래에 독도문제에 대하여 항거 불능의 상태로 될 가능성도 있을 것이라고 예상 된다. 과거의 지도 자료는 남아 있지만, 세계지도에 응용하려는 정부의 노력이 미약하다. 일본은 세계지도를 새롭게 변화 시키고 있는 것이다. 한국도 이에 맛서는 대응책을 마련하고 청소년들에게 바른 역사관을 심어주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울릉도와 독도를 하나로 통합관리하는 시스템도 괜찮을 것 같다. 앞으로 지속적이고 적극적으로 한국의 독도를 지켰으면 하는 바램이다.
한국의 독도 연대관련 자료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독도의 연대를 간략하게 작성 512년 : 신라 지증왕 13년(512년) 이사부, 우산국(울릉도,독도) 복속 1416년 : 공도정책(왜구의 침략을 예방하기 위해) 1618년 : 도꾸가와 막부, 조선 정부 몰래 일본의 무라까와, 오타니 가문에 불법으로 죽도(울릉도) 도해 면허(이는 외국과의 통상을 허가한다는 정부의 허가서)를 발급. 1693년(숙종) : 안용복 사건. 두 차례에 걸쳐 일본에 건너가 "울릉도"와 "독도"가 조선땅임을 일본막부로부터 인정받음. 1696년 : 안용복의 제2차도일활동. 안용복은 "조울양도감세장신안동지기"라는 깃발을 사용하여 일본에 관직 을 자칭하고 2차 도일을 시도. 안용복은 오끼도를 거쳐 오기슈 연안에 도착하여 호끼슈태수로부터 "울릉도,독도 양도에 침범치 않겠다"는 약속을 받아냄. 1881년 : 이때부터 독도의 명칭이 나타남. 울릉도 개척령을 발표하여 척민정책을 취함. 일본 어민의 울릉도 침입에 관해 조선정부가 일본정부에 엄중 항의. 1882년: 울릉도 공도정책 폐기 1900년 대한제국 : 칙령 제41호 울릉군의 관할구역으로서 독도를 정함. 1904년 : 울릉도 호수는 400호에 달함. 여름철에는 수십명의 어민이 독도 부근에 출어하여 섬 위에 작은 집을 만들고 매회 약 10일간 기거함. 1905년 : 일본 각의에서 독도의 일본령 편입을 결의. 내무 대신으로부터 시마네현지사에 훈령(시마네현 소속). 시마네현고시 제40호로 독도의 동현 편입을 발표. 시마네현 송영지사 일행이 독도 현지 조사를 실시한 후 일본정부는 독도를 죽도라 명명 (독도가 한국의 영토임을 인지하고 있으면서도 불법적으로 독도를 죽도라는 이름으로 명명하였기에 그러한 편입 사실을 공식적으로 공고한 것이 아니라 일개 현에서만 암암리에 편입사실을 발표한 것임) 8월 19일에는 러일 전쟁 이용 목적으로 독도에 망루를 설치. 러일전쟁승리 후인 10월 24일 망루를 철거. ...
신문기자였던 그의 딸e 왜 죽었을까?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jpg)
🙏추모서명 모집 글이 RT되기 시작해서 링크를 열어 봤는데 글e 길면서도 핵심e 눈에 들어오지 않는다. 모르는 사람은 이것이 무엇에 대한 진실을 말하려는 것일까? 일까 궁금할 것 같았다. 자료를 찾아서 짝 맞추기를 해보았다. 1989년 3월, 조선일보 기자였던 부지영은 (고)김대중 대통령이 평민당 총재로 있었을 때, 그들이 해외여행에서 했던 일들과 수행원들의 행위를 신문에 적었고, 수행원의 추태는 비행기 안에서 맨발, 로마교황의 소매를 잡고 사진을 요청, 교황을 “헤이”라고 부르는 등, 다수 나열된다. 이 기사로 인하여 “87억”을 요구하며 평민당에서 조선일보를 고소하였고, 1989년 7월“서경원사건 밀입국 사건”이 알려졌고, 평민당은 고소취하 하면서 <조+평>사건은 끝났다. 그리고 10년이 지난 뒤에 (고)김대중은 대통령당선과 노밸 평화상을 받았고, 햇빛정치로 북한에 엄청난 금액을 송금하며 국민들이 금강산은 가게 되었지만, 북한은 변화지 않았다. (고)김대중 대통령 서거로 모든 것이 끝이 나는 가? 생각되었는데, 2010년 8월 “김대중 자서전”이 출판되었고, 부지영씨는 (고)김 대통령 자서전 일부 정정을 요구하고 있다. 그리고 그의 어린(20)딸이 유학도중 인터넷 공격으로 죽었단다. 자신에게도 딸과 똑같이 죽게 하겠다면서 협박을 했다는데, 누가? 왜? 어떻게 해서 그의 딸이 죽었는지는 모르겠다. 다만, (고)김대중 대통령 옹호세력에 의하여 정신적인 압박이 가해졌나? 하는 추측만 가능하다. 아버지로서 부지영 그는 괴로워하며 호소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