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어떻게 희망을 준다는 말인가?

트위터에서 “ 어떻게 선박사고 하나가 국가적 망신을 시키는가 ?” 하는 말을 했었다 . 아무리 생각해봐도 저 말을 정정할 필요성이 보이지 않는다 . 이미 “ 희망이 보이지 않는데 , 어떻게 노란 리본으로 가족들에게 희망을 준다는 말인가 ?” 기초가 무너진 자리 , 기본을 무시하고 살아온 삶의 증거가 현실에서  이렇게 만든 것이라고  생각한다 .  우리는 충분히 그동안 대구 열차 화재 사고 ,  상품 백화점 붕괴 ,  천안함 사고 등을 통하여 인재에 대한 경험을 쌓았고,  기본지침이 중요한 것을 깨닫고 있었다 . 그런데 , 그 틀을 깨고 , 법을 고치면서 , 규정을 지키지 않았다 .   선박회사와 선장에 대한 잘못 , 그리고 행정적 잘못만 있고 국민들의 잘못은 없을까 ? 가장 큰 죄는 배를 버리고 승무원을 버린 선장의 잘못이 크다 . 그러나 선박회사가 이토록 의무감 없는 선장을 고용하고 , 무책임하게 선박운항을 해도 무탈 할 수 있었던 것은 금전만능 주의 , 설마 주의 , 책임회피 주의가 뿌리 내리는 사회를 만든 것은 결국 국민 모두의 책임이다 . ➀ 각종 사고가 날 때마다 몇 명만 질책하고 근본적 대안을 구축하지 않는     정부를 질책하지 않은 국민의 잘못 , ➁ 국가 안전 시스템의 부적정한 책임을 방관한 정부 지도부의 책임을       방관한 국민의 잘못 ➂ 경제만 살리면 모든 비리가 용서되는 사회적 분위기를 만든 국민의 잘못 그럼에도 불고하고 우리는 누군가 , 국민들을 질책하면 , 화부터 낸다 . 왜 ? " 남의 탓은 인정 하고, 내 탓은 인정 하지 못하는가 ?" 더 이상은 선거철 부정행위에 관용을 베풀지 말자 . 더 이상은 지역사회에 어울리지 않는 행정법의 적용을 허용하지 말자 . 더 이상은 권력의 시녀가 된 언론의 장난을 용서하지 말자 . 더 이상은 부당한...

서울시 공무원 간첩 조작사건?

서울시 공무원 간첩 조작사건?   제목만 보면, 서울시청에서 근무한 공무원 중에 간첩이 있었다는 것인지? 서울 시청 공무원이 간첩으로 조작되었다는 것인지? 알수가 없다.  국정원에서 화교(중국인) 출신인 탈북자가 공무원이 된 것을 조사하기 위해서 그에 관련 된 서류를 중국에 확인 요청했지만, 중국에서 그에 관련 된 문서가 가짜라고 했고, 이로서 확실한 탈북자의 신분이므로 공무원을 해도 정당하다는 결정으로 마무리 되는 것이라면,  간첩행위에 대한 진위는 무엇인가?     이번 경우는 국외자가 공무원이 된 것이 문제가 된 것 보다, 이 사람이 서울시청에서 근무하면서 국민들의 중요한 자료를  ‘조선인민공화국’ 즉, 북한에 넘겨준 것이 있거나, 중국으로 자료를 팔아서 부당 이득을 챙겼나? 이런 것이 더 문제의 핵심이 되었어야 하는 것 아닌가? 현실적으로 “화교가 북한에서 거주 하다가 탈북자로 넘어 와서 공무원이 되었다면, 그 과정을 정확하게 조사하는 것이 처음부터 가능한 일 이었을까?” 간첩이라는 명칭으로 조사를 하려고 했다면, 한국에서 조사 할 수 있는 간첩 행위에 대한 것을 더욱 문제를 삼아야 하는 것 아닌가?  그리고 언론에서는 기사를 전달하려면 확실하게 적어야 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대한민국은 분단국가로서 현재 국가보안법이 아직 존재하고 국가의 권력구조적 횡포가 있는 것은 알고 있다. 그러나 외국에서도 억울한 사건들 은 빈번하게 발생한다. 그러므로 현재 대한민국 국정원에서  무고한 사람을 이유 없이 간첩을 만들었다는 것인지? 아니면, 무엇을 잘못해서 간첩이라고 주장 할 수 있었는지? 국민들에게 전달해야 하는 것은 이런 것이다. 참고자료.  탈북 화교 공무원 간첩 사건 (脫北華僑公務員間諜事件)은  중화인민공화국 국적으로 북한에 거주하던  화교  유우성(한국명, 중국명은 ...

바른정치와 국가적인 안전대비 시스템을 위하여...

이미지
 장마가 길어지고, 여름철 물가도 계속 오르고 있지만, 해법을 찾기가 쉽지 않는 정계의 문제점들이 많아 보인다.  혼자만의 느낌이겠지만, 이번 장마에서는 지난해 겨울, 생매장을 한 수 많은 가축들의 한이 느껴진다. 살아오면서 유난히 죽음을 많이 접하고 살았지만, 살아 있는 생명들이 그처럼 포크레인에 밀려서 겹겹이 쌓이면서 생매장 당하는 모습은 충격적이었고 너무 안쓰러웠던 탓일까? 뇌리에서 쉽게 잊어지지 않는다.  잊을 것은 잊어야 하겠지만, 국민의 생활과 직결 되는 여러 가지 안전에 대하여, 국가에서 신경을 쓰지 않고, 늘 임시방편으로 해결하던 습성을 버리지 않는 것이 거슬린다. 유비무환(有備無患)의 정신이 비교적 투철하다고 알려져 있던 일본도 최근에는 그 기강이 해이해지더니 결국 최악의 원전 사고를 일으켰다.  한국은 빠른 시간에 고도의 성장을 해온 만큼 문제가 많은 편이다. 이제는 국가적인 안전대비, 방역시스템을 철저하게 보완하고 관리해도 될 시기와 능력이 형성 된 것 같은데, 국회의원들이 국민의 안위보다 자신들의 안위를 더욱 챙기고 있는 것은 한심스러운 일이라고 생각된다. 어쩌면 모든 것은 국민 개개인의 정치 참여의식의 결여에서 시작된 일인지도 모르겠다. 대통령을 뽑는 기준이 그 사람의 행적이 아니라 어느 종교를 가졌으니까? 경제를 살린다는 광고 구호를 믿고 뽑거나 어느 지역 출신을 따지면서 인물 보다는 당을 보고 표를 주는 오류로서 잘못 된 정치와 정경유착, 각종 비리의 온상을 만드는 일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이제는 우익과 좌익, 혹은 보수와 진보의 문제가 아니라 진정한 한국의 살림경제와 인격적 완성도를 위하여 고민하며 정치인들을 바르게 뽑고  지켜보아야 할 때가 되지 않았는지를 생각해본 다.  

안철수의 창업과 제도적 보안의 필요에 동의한다.

이미지
안 교수는 오는 6월 1일 카이스트를 떠나 서울대 융합 과학 기술 대학 원장으로 부임할 예정이다. “창업을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자기 자신을 잘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내성적 인 사람이라고 창업에 어울리지 않는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더 깊은 성찰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자신에 대해 고민하고 그 결과 창업이 맞다고 생각되면 도전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실리콘밸리를 성공의 요람이라고 하는 것은 잘못 알려진 것입니다. 오히려 실패의 요람이죠. 성공하는 기업은 백에 하나입니다. 중요한 것은 1번의 성공보다 99번의 실패가 사회의 자산이 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우리도 실패를 용인하고 위험을 분산시킬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돼야 합니다.” http://wikitree.co.kr/main/news_view.php?id=35093 위 글은 뉴스의 중간부분과 끝부분 인용글이다. 오늘 날, 다국적 시각에서도 한국은 수출로서 승패를 좌우 할 수 밖에 없는 국가에 속해있다.  이런 나라에서 기업은 중요한 위치이며, 중소기업이 발전을 해야 하는 것도 당연하다.  그런데, 창업과 기업운영의 실패가 개인적인 능력과 함량 미달일 수 도 있지만, 운영 실패의 부담이 전적으로 개인에게 주어지는 것을 막아 줄 필요는 있다. 실패에서 성공으로 바뀔 수 있는  기업들이 상당 수 있으므로 안교수의 이런 제안은 제고의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정부와 국회의원들이 나태한 국가는 불행하다.

정부와 국회의원들이 나태한 국가는 불행하다. 국회의원들이 고급승용차를 타고 거리를 누비면서 권위에 젖은 행동을 하는 것이 가능한 나라는 현재 말하는 개발도상국 수준이라는 것을 알고 있을까? 국회의원들이 너무 안이하고 나태하다. 그리고 무엇보다 3차 산업의 비율이 너무 높다는 생각이 자꾸 든다. 이런 구조적인 잘못을 고치지 못하면 한국의 미래는 어둡다. 국내 대학교도 지나치게 인문 계열 쪽에 치우쳐 있고, 인기 있는 몇 개의 학과에만 자본을 투자하는데, 정말 이대로 계속 진행 되면 문제가 커질 것 이라는 생각이다. 그런데 이런 문제를 걱정하는 것보다 더욱 더 부추기며 거품 경제가 대안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현직 고위공직자이고 대통령의 생각인 것 같아서 안타깝다. 통일을 원한다고 하지만, 과연 고위 공직자들 중에서 통일을 원하는 사람들이 몇 명이나 될 것인가? 현재 한국은 사상이 죽어있다. 누군가는 깨어 있어야 하는데, 모두가 잠들어버린 죽음의 국가인 것처럼 느껴지는 것은 왜일까? 정부에서는 국민들의 뜻을 건성으로 흘러 넘기고 일부 지식인들의 두뇌에서 짜여진 각본과 그들만의 탁상공론으로 모든 것을 실행하고 움직이는 것이 보이는데, 누구하나 반박을 제대로 못하고 있다. 그리고 이 순간까지 색깔론 들이 대두 되고 있는지 이해를 할 수가 없다. 한국이 휴전국가이지만, 우리나라는 민주 공화국이 아닌가? 왜 정의를 말하면 빨갱이가 되고 우익, 좌익으로 이분법 적인 의견만 남게 되는 것인지를 생각해볼 문제가 아닌가? 영국도 독일도 이탈리아도... 전 세계에서 막강한 힘을 가진 국가들 대부분의 나라들이 한때는 공산주의와 사회주의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기도 했었다. 사회주의와 공산주의는 정의롭지 못해서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왜 모르는 것일까? 그것보다는 자본주의에 입각한 자유주의 혹은 개인적으로 부를...

안데스음악 속으로1

이미지

백평훈 아리랑 블루스

"아리랑" 블루스의 주인공  백평훈 소개  http:// bit.ly/exFzC1 아리랑 블루스는  백평훈 감독의 댄스 필름 3부작 중의 마지막 작품으로  한국에서 이민 온 두 명의 아티스트의 인생을 담고 있다. http://vimeo.com/14443428